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오븐시계 #백준
- 15552
- 9020
- 파이썬
- 2447
- kakaocloudschool
- 24479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 node
- SpringTokenizer
- boj
- 백준
- Spring #Java #Spring Boot #싱글톤
- Java #코딩테스트
- 11054
- python
- Spring
- 코딩테스트
- java
- 11053
- sequelize
- Spring #Spring Boot #Java
- Spring #Java #Spring Boot
- Java #백준 #코딩테스트
- 카카오클라우드스쿨
- 7568
- 알고리즘
- kakaocloud
- Spring #Java #Spring Boot #@BeforeEach #@AfterEach
- 1110
- Today
- Total
목록CS/Architecture (5)
YoungSoo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1453506?cat_id=50010921&frm=PBOKMOD&query=%ED%81%B4%EB%A6%B0+%EC%95%84%ED%82%A4%ED%85%8D%EC%B2%98&NaPm=ct%3Dlhjwzhy0%7Cci%3Db806ce7c65fbeeced2edf92cf81cf952ba85e5ea%7Ctr%3Dboknx%7Csn%3D95694%7Chk%3D5b2290da977ac80e0b53601da3f97fbf16c01b48 클린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이 글은 위의 책을 읽고 간단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91453506?cat_id=50010921&frm=PBOKMOD&query=%ED%81%B4%EB%A6%B0+%EC%95%84%ED%82%A4%ED%85%8D%EC%B2%98&NaPm=ct%3Dlhjwzhy0%7Cci%3Db806ce7c65fbeeced2edf92cf81cf952ba85e5ea%7Ctr%3Dboknx%7Csn%3D95694%7Chk%3D5b2290da977ac80e0b53601da3f97fbf16c01b48 클린 아키텍처: 소프트웨어 구조와 설계의 원칙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이 글은 위의 책을 읽고 간단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멀티 모듈 아키텍처를 적용함과 동시에 이후에 서비스가 커진다면 MSA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MSA에 대한 이론을 공부해두고 프로젝트에 적용한다면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MSA를 적용하게 된다면 다른 서비스와 통신하기 위해 Kafka와 같은 메시징 큐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를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분할하여 개발, 배포, 운영하는 아키텍처입니다. 기존의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모든 기능을 담당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개발, 배포, 운영 등 모든 과정에서 단일한 문제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

Multi-Module Architecture이 필요했던 이유 처음 프로젝트를 설계하며 백엔드 프로젝트의 구조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프로젝트는 모두 모놀리식 아키텍처 기반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고 기존의 모놀리식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하게 되니 많은 코드 충돌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의존성, 역할과 책임을 분리하기 위해 모놀리식 아키텍처 기반으로 하고 서비스를 모듈 별로 나누어 멀티 모듈 구조를 설계했습니다. 구조에 대한 앞으로의 방향성 이후에 서비스가 확장된다면 MSA로의 전환을 염두에 두며 구조를 설계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서 Batch를 하나의 프로젝트에 같이 만들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Batch를 실행하는 독립적인 모듈..

왜 모놀리식 아키텍처야?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개발과 배포가 비교적 간단하고 전체 시스템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 모놀리식 아키텍처이지만 코드를 분리해야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각 서비스 별로 패키지를 나누어 그 속에서 MVC 패턴을 기반으로 코드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어떻게 코드를 작성해야 할까 Spring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지원합니다. Model, View, Controller로 구성하는 이 패턴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를 역할에 따라 분리하여 개발할 수 있었고,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API를 통해 접속하는 부분은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