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 #오븐시계 #백준
- 1110
- Spring
- Spring #Java #Spring Boot
- java
- kakaocloud
- node
- kakaocloudschool
- Java #코딩테스트
- sequelize
- 7568
- 백준
- Spring #Java #Spring Boot #싱글톤
- python
- boj
- 2447
- Java #백준 #코딩테스트
- 15552
- Spring #Java #Spring Boot #@BeforeEach #@AfterEach
- 알고리즘
- 11053
- 11054
- 파이썬
- SpringTokenizer
- 카카오클라우드스쿨
-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 9020
- Spring #Spring Boot #Java
- 24479
- 코딩테스트
- Today
- Total
목록python (17)
YoungSoo
이번에는 파이썬의 모듈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모듈이란 함수나 변수 또는 클래스 파일을 모아놓은 파이썬 파일이다. 또한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파이썬 파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듈을 통해서 다른 사람이 만들어둔 프로그램을 가져와 사용할 수도 있다. 모듈에 대해 알아보자. 모듈 모듈 만들기 # mod1.py def add(a, b): return a + b def sub(a, b): return a-b 모듈 불러오기 import mod1 print(mod1.add(3, 4)) >> 7 print(mod1.sub(4, 2)) >> 2 모듈의 함수만 불러오기 from mod1 import add or add, sub or * add(3, 4) >> 7 클래스나 변수 등을..
이번에는 클래스와 객체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 중에서 클래스가 없는 프로그램도 많다고 하는데 이 점에서 함수는 꼭 필요한 요소는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적재적소하게 사용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클래스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는 똑같은 무엇인가를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는 설계 도면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거 같다. 객체는 클래스로 만든 피조물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거 같다. 동일한 클래스로 만든 객체들은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클래스 class FourCal : def 함수명(매개변수): 수행할 문장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체를 만들어야한다. a = FourCal() // 객체 생성 a.함수명(매개변수) // class 안에 함수 사용 클래스를 통해 파이썬 메서..
이번에는 파일 읽고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현재 웹 백엔드 개발자나 서버 개발자를 지향하고 있는데 파일 읽고 쓰는 방법은 정말 필수라고 생각한다. 또한 파이썬 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분석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필수로 사용할 수 있기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파일 읽고 쓰기 파일 생성하기 현재 디렉터리에 새파일.txt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열기 모드파일열기모드 설명 r 읽기모드 - 파일을 읽기만 할 때 사용 w 쓰기모드 - 파일에 내용을 쓸 때 사용 a 추가모드 -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 시킬 때 사용 다른 디렉터리에 파일 생성 f = open("C:/user/새파일.txt", 'w') f.close() 파일을 쓰기 모드로 열어 출력 값 적기 파일 안에 출력 ..
이번에는 입력과 출력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입력과 출력은 평소에 사용하는 거의 모든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래서 입력과 출력은 꼭 알아야할 것들 중 하나이다. 입력 input()은 입력되는 모든 것을 문자열로 취급한다. a = input("입력해주세요 : ") 입력해주세요 : aaaa print(a) >> aaa 출력 a=123 print(a) >>123 a=[1, 2, 3] print(a) [1, 2, 3] 문자열 띄어쓰기는 콤마로 한다. print("a", "a") >> a a 한 줄에 결과값 출력하기 for i in range(10): print(i, end=' ') >>0 1 2 3 4 5 6 7 8 9

이 문제는 몸무게와 키를 튜플로 정리해 튜플의 순서를 구하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쉬운데 문제는 몸무게는 작지만 키가 크거나 키는 작지만 몸무게가 크다면 등수를 매길 수 없어 공동 등수로 처리해야 하는게 핵심이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rr = [] for _ in range(n): x, y = map(int, input().split()) arr.append((x, y)) for i in arr: cnt = 1 for j in arr: if i[0] < j[0] and i[1] < j[1]: cnt+=1 print(cnt, end=" ") 먼저 문제의 풀이를 보면 배열에 키와 몸무게가 담긴 튜플을 입력받은 수만큼 넣어주고 이중 ..
이번에는 Python의 함수에 대해 공부해보려고 한다. 함수란 무엇일까? 함수란 입력받은 값을 통해 어떤 일을 수행한 후 결과 값을 리턴하는 것을 함수라고 한다. 함수에 대해 더 알아보자. 함수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 함수 예제 def add(a, b): return a+b a=3 b=3 c=add(a, b) print(c) >> 7 매개변수 :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인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 입력 값과 결과 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일반적인 함수 def add(a, b): return a+b a=3 b=3 c=add(a, b) print(c) >> 7 결과 값이 없는 함수 def add(a, b): print("%d, %d의 합은 %d 입니다.", % ..

이 문제는 골드 5정도의 문제로 도전을 했다가 실패해서 다른 분의 풀이를 보고 이해해서 도움이 됐으면 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먼저 문제를 이해해야하는데 이 문제의 분류는 재귀함수로 분류되어 있어 함수를 만드는 방식으로 풀었고 저는 가장 작은 단위를 3일 때 위의 모양을 제일 작은 단위로 생각하고 이해하면 쉽게 이해했습니다. 9일때의 모양을 보면 가장 작은 단위로 생각한 모양을 *하나로 생각했을 때 가장 작은 단위의 도형이 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star(n): if n == 1: return['*'] stars = star(n//3) arr = [] for s in stars: arr.append(s*3) for s in s..
Python 공부를 시작했는데 어떤 언어에서나 제일 기본이 되는 자료형에 대해 공부하였다. 숫자형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예 정수, 실수, 8진수나 16진수 등) ** : 제곱을 나타냄 // : 나누기 후 몫을 반환 문자열 자료형 “ ” : 안에 ‘하나는 기호로 사용 가능 ‘ ‘ : 안에 “ ”를 사용할 수 있다. \를 통해 ‘, “를 문자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연속된 크고 작은 따옴표 3개의 따옴표를 사용해 여러 줄의 문자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스케이프 코드 \n : 줄바꿈 \t : 탭 간격 \\ : 문자 \를 표현 \’ : ‘를 표현 \” : “를 표현 \r :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f :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 \a : 출력 시 벨 소리 \b : 백 스페이스 \000 : 널..